전체 글 48

2025년 글로벌 석유 시장 분석

2025년 글로벌 석유 시장 분석1. 원유 가격 추이 및 주요 변동 요인(1) 원유 가격 동향 (2023년 10월 ~ 2025년 1월)가격 범위:WTI 기준: 65.75달러/배럴(2023년 9월) → 86.91달러/배럴(2024년 4월)상반기 상승 후 하반기 하락 패턴상승 요인:중동 불안정: 이란-이스라엘, 하마스, 후티 반군 간의 갈등 심화러시아의 공급 불안: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정유 시설 공격미국 대러 제재 강화: 2025년 1월 바이든 정부가 러시아 석유산업 추가 제재 발표(2) 하락 요인:OPEC+ 감산 완화: 2024년 10월부터 일일 220만 배럴 감산 조치 단계적 완화중국 경제 둔화: 석유 수요 감소중동 공급 불안 감소: 일부 지역의 긴장 완화로 인한 시장 안정2. OPEC+의 전략과 공급 ..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2025년 글로벌 에너지 및 석유 시장 보고서

2025년 글로벌 에너지 및 석유 시장 보고서1. 서론: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전환기2025년은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의 심화, 탈탄소화 정책의 진전, 주요 국가의 정치적 변화 등 복합적인 요소들이 에너지 시장을 흔들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재집권과 이에 따른 미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OPEC+의 감산 전략 수정 등이 석유 시장의 공급과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아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수급 변화, 기업들의 투자 전략 변화, 그리고 탈탄소화를 둘러싼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변화가 맞물리면서 석유 시장의 불확실성은 한층 더 높아졌다.본 보고서는 이러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주요 변화 ..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국제유가 급등, WTI 75달러/배럴 돌파

어제 ICE 브렌트유 가격이 1% 상승하며 원유 시장의 강세가 지속되었다. ING 원자재 분석가는 시장 심리가 주로 날씨, 수요, 지정학적 요인에 의해 긍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이 러시아에 추가 제재를 가함에 따라 세계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있다. 특히 브렌트유는 한때 배럴당 80달러를 넘었으며, 현재 WTI 원유는 배럴당 76.69달러, 브렌트 원유는 지난해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러시아의 석유 생산과 수출을 단속하기 위해 180척 이상의 선박을 제재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Gazprom, Neft, Surgutneftegas 등 주요 석유 회사 및 일부 러시아 최고 석유 경영진에 대한 자산 동결, 거래 금지, 보험 ..

카테고리 없음 2025.01.13

댈러스 연준 서베이 결과 및 바이든 정부의 시추 제한

댈러스 연준 서베이 결과 2024년 4분기 달라스 연준 에너지 설문조사는 석유 및 가스 산업의 활동, 전망, 가격 예측, 투자 계획, 규제 환경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기업들의 의견과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석유 및 가스 산업의 사업 활동 지수는 -5.9에서 6.0으로 상승하며 소폭 개선되었고, 기업 전망 지수도 -12.1에서 7.1로 전환되어 기업들이 비교적 낙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생산 지표에서는 석유 생산이 거의 변동이 없었고,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세가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부정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비용 측면에서는 기업들의 운영 비용이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유전 서비스 기업들의 장비 이용률과 운영 마진은 여전히 감소했지만, 하..

카테고리 없음 2025.01.06

한국 시멘트 산업의 CCS

한국의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철강, 시멘트, 화학 부문은 산업 부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들 세 부문은 전체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저탄소 기술의 채택과 빠른 에너지 전환이 절실하다. 각각의 산업 부문은 특화된 감축 전략과 기술이 요구되며, 이를 기반으로 탄소 중립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먼저 철강 부문은 저탄소 철강 생산 기술로의 전환이 핵심이다. 기존의 석탄 기반 고로(BF) 공정을 대체하기 위해 수소 기반 직접환원철 전기로(DRI-EAF-H2) 기술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 기술은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해 철을 생산하며, 탄소 배출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철강 생산 과정에서 고철을 재활용하는 전기로..

카테고리 없음 2024.12.24

시멘트 산업의 친환경 전환과 CCUS 역할: 독일 사례와 국내 시사점

1. 독일 시멘트 산업의 CCUS 역할과 과제 (NRW 사례)독일은 2045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며, 시멘트 산업과 같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의 배출 감축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시멘트 생산의 핵심 공정인 소성화(calcination) 과정에서 발생하는 CO₂ 배출은 화학적으로 불가피한 특성을 가지며, 이는 ‘Hard-to-Abate’ 영역으로 분류된다. 독일은 이러한 공정 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CCUS) 기술을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특히, 독일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NRW) 지역은 중공업 중심지로, 연간 5.3Mt의 CO₂를 배출하며, 이 중 약 3.3Mt이 소성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배출이다. 독일은 기존 기술(대체 연료 사용, 폐열..

카테고리 없음 2024.12.20

유럽의 CCS (2)

유럽연합(EU)은 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CCS(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CCS는 CO2 배출을 줄이고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며, 특히 탈탄소화가 어려운 제조업(hard-to-abate 섹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럽은 제조업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CCS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 중이며, 주요 산업 지역을 중심으로 CO2 회수, 수송, 저류의 전 과정을 통합한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CCS 기술 확산에는 여러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ETS(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무상 배출 허용량 축소는 이미터(배출 사업자)에게 CCS 도입을 강하게 압박하는 요인이다. 2026년부터 무상 배출 허용량이 단계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하여, 2034년에는 완전히 폐지될..

카테고리 없음 2024.12.20

화학산업 구조조정

글로벌 화학 산업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유럽과 미국의 전통 화학 기업들이 기존의 일반 화학 및 석유화학 사업에서 철수하거나 축소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 가운데, 중동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 시장이 부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환경 규제 강화, 글로벌 수요 변화, 기술 혁신 필요성 등 다양한 요인에서 기인한다. 먼저, 유럽과 미국은 에너지 비용 증가와 강력한 환경 규제 속에서 기존의 수익성이 낮은 플라스틱 및 석유화학 사업을 축소하거나 매각하고 있다. 대신 정밀화학, 특수화학, 바이오소재, 첨단소재와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BASF는 배터리 소재와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에, Dow와 DuPont은 정밀화학과 고성..

카테고리 없음 2024.12.17

배터리 메탈 (리튬, 니켈 등)의 최근 이슈와 동향

리튬과 니켈: 에너지 전환 시대의 핵심 자원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움직임과 함께 에너지 전환의 필수 요소인 리튬과 니켈은 주목받는 중요한 광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들은 전기차(EV), 리튬 이온 배터리(LIB), 재생 가능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차세대 기술의 기반이 되는 원료로, 글로벌 공급망 및 기술 개발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리튬과 니켈의 공급망은 복잡성과 자원 고갈 우려로 인해 다양한 도전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1. 리튬: 급성장과 공급망의 변화1.1. 리튬 생산량 증가와 가격 변동리튬은 전기차와 재생 가능 에너지 기술의 핵심 원료로, 지난 몇 년간 수요가 급증했다. 미국 지질조사소(USGS)에 따르면 2023년 세계 리튬 생산량은 5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4년에..

카테고리 없음 2024.12.13

케냐의 에너지 산업과 전망: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미래

케냐는 풍부한 재생 가능 에너지 자원과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기반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그린 수소 경제를 선도하려는 야심 찬 계획을 발표했다. 2023년 9월 5일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1회 아프리카 기후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케냐 그린 수소 전략 및 로드맵"은 그린 수소를 활용한 국내 및 국제 시장에서의 경제적 성장과 탈탄소화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케냐는 이를 통해 농업, 산업화, 탈탄소화 분야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며, 특히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 수소와 암모니아의 생산 및 수출을 통해 지역 경제를 강화하고 국제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케냐의 재생 가능 에너지 잠재력케냐는 풍부한 지열, 수력,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

카테고리 없음 2024.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