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방향
2025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이번 임기에는 상원과 하원 모두 공화당이 다수당을 차지함으로써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추진력이 더욱 강화됐다. 이 시기 공화당은 "에너지 지배(Energy Dominance)"를 국가 전략으로 내세웠다.
트럼프의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미국을 세계 최대 에너지 생산국으로 만들기
- 에너지 규제 완화 및 탈탄소 정책 폐지
- 국내 생산 강화 및 해외 에너지 의존도 감소
-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미국의 지배력 확대
이를 위해 트럼프는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인 '그린 뉴딜'을 폐지하고, 석유, 가스, 석탄 등 전통적인 화석연료 생산 확대를 주요 정책으로 삼았다. 이는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으로도 활용됐다.
2. 무역 및 관세 정책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정책과 무역 정책을 긴밀히 연계했다.
2024년 11월 당선 직후, 트럼프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약 밀수, 불법 이민 문제 등을 이유로 들었으나, 실제로는 미국의 에너지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경제적 압박 수단이었다.
또한, 중국에 대해서는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에너지 수출 시장에서 미국의 우위를 확보하려 했다.
이러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전통적인 자유무역 질서와 충돌하며 국제적인 긴장을 초래했다. 트럼프의 무역 전략은 **"G1 경제"**로 불리는데, 이는 다자간 협력보다는 미국 중심의 경제 지배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주요 관세 정책의 영향:
- 멕시코 및 캐나다산 원유 수입 비용 상승
- 미국산 에너지의 가격 경쟁력 확보
- 국제 원유 시장의 가격 변동성 증가
3. 미국의 에너지 생산 및 무역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미국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 에너지 생산국으로 자리 잡았다.
- 석유 생산: 하루 평균 1,900만 배럴 이상 생산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를 압도)
- 천연가스 생산: 하루 약 3,780억 입방피트 생산, 특히 LNG(액화천연가스) 수출이 급증
주요 생산 지역:
- 퍼미안 분지(Permian Basin): 미국 셰일 오일 생산의 핵심 지역
- 바켄(Bakken), 이글포드(Eagle Ford): 원유 및 가스 생산량 증가
- 앱팔래치아(Appalachia): 천연가스 생산의 주요 허브
수출 측면에서는 트럼프의 규제 완화로 인해 미국의 원유 및 LNG 수출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 원유 수출: 2017년 수출 해금 이후 2023년 기준 하루 400만 배럴 이상 수출
- LNG 수출: 아시아, 유럽으로의 수출 확대 (특히 일본, 한국, 중국이 주요 수입국)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수출 확대를 통해 국제 에너지 시장에서의 미국 영향력 강화를 추구했다.
4. 에너지 인프라 및 기술 개발
트럼프 2기 정부는 에너지 인프라 확장을 적극 추진했다.
- 파이프라인 건설: Keystone XL, Dakota Access Pipeline 등 대형 프로젝트 재개
- 심해 시추 확대: 멕시코만, 북극해 등 신규 해양 시추 허용
- 정유 및 저장 시설 확대: 수출 확대를 위한 인프라 개선
기술 개발 측면:
- Cube Technology: 하나의 시추 지점에서 수평으로 다수의 유정을 개발하는 방식
- Simul-frac(동시 수압 파쇄): 여러 유정을 동시에 개발하여 생산 효율 극대화
- Re-fracking: 기존 유정에 추가 수압 파쇄를 적용해 생산량 증가
이러한 기술 발전은 생산 단가 절감과 생산량 확대로 이어져 미국의 에너지 수출 경쟁력을 강화했다.
5. 기업 전략과 산업 변화
미국의 대형 에너지 기업들은 트럼프 정부의 정책을 기회로 삼아 합병(M&A)과 대규모 투자를 확대했다.
- ExxonMobil, Chevron, ConocoPhillips: 대규모 합병 및 인수로 생산량 확대
- Expand Energy: Chesapeake와 Southwestern 합병으로 대규모 가스 생산 기업 출범
- Diamondback Energy: Endeavor 인수로 퍼미안 분지의 주요 생산자로 부상
이 기업들은 저비용 생산 구조를 통해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특히 **주주 환원 정책(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목표로 했다.
6. 국제 에너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의 에너지 지배 전략은 국제 에너지 시장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 글로벌 원유 및 가스 가격 하락: 미국의 대규모 수출로 공급 과잉 현상 발생
- 중동 및 러시아의 시장 점유율 감소: 미국산 에너지가 유럽 및 아시아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 에너지 안보 변화: 유럽은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산 LNG로 대체
지정학적 영향:
- 중동의 불안정성 증가: 미국의 자급자족으로 인해 중동의 전략적 중요성 감소
- 미-중 에너지 갈등: 에너지 수출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 고조
- 유럽의 전략적 재편: 러시아 가스 의존도 감소 및 미국과의 에너지 협력 강화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은 단순한 경제 전략을 넘어 국제 정치, 안보, 외교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